교재의 시작 부분은 사회 복지와 철학의 만남의 시도한다. 즉, 이러한 만남을 통해 사회 복지윤리와 철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보다 명확하게 규정하고 그 내용을 체계화 하자는 것을 사회 복지 철학의 체계의 목적을 던져두고 있다.
제1장 사회복지 철학의 체계
철학과 사회복지학
◆철학의 개념과 하위분야 중 5가지
1) 철학 : 자연과 인간 사회문하제 영역의 최고원리와 제 영역의 통일 원리를 반성적으로 탐구하는 직적 활동 또는
그 결실
2) 인식론 : 인간이 획득할 수 있는 확실한 지식의 내용가 아울러 지식회득의 정당화 방법을 연구
3) 논리학 :올바르고 정확한 추론에 대한 방법과 원칙들에 관하여 연구
4) 미학 : 아름다움과 기예에 대한 인식과 기호를 연구
5) 존재론 :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과 사물들의 본질과 성격을 탐구
6) 윤리학 : 선과 도덕적인 것의 무엇을 의미하며, 이러한 의미들이 어떻게 정당화 뒬수 있지를 논의
2.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탐구
사회복지 철학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 할 수 있을까? 앞서 우리는 철학을 '자연과 인간 사회문화 제 영역의 최고원리와 제 영역의 통일 원리를 반성적으로 탐구하는 지적 활동 또는 그결실' 이라고 개념정의 하였다.
이러한 철학의 개념을 활용한다면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탐구는' 사회복지 그 자체에 대한 최고원리와 제영역의 롱일 원리를 반성적으로 탐구하는 지적 활동 또는 그 결실'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회복지 철학에 대한 개념 정의가 구성되고 나면 철학을 구성하는 하위분과 영역으 체계를 따라 사회복지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세부 내용은 담음과 같이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철학과 하위분과 영예의 개념
1) 사회복지 철학 : 사회복지 그 자체에 대한 최고 원리와 제영역의 통일 원리를 반성적으로 탐구하는 지적 활동 또는 그 결실
2 사회복지 윤리학 : 사회복지의 규범적 측면 탐구
3) 사회복지 인식론: 사회복지와 관련된 지식의 의미와 정당성을 탐구
4) 사회복지 정치철학: 집합적, 사회적 차원의 공동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를 다룸
5) 사회복지 미학: 사회복지를 둘러싼 인간의 미적 인식과 기예(sw의 기술)를 다루는 영역
→ 이들은 가각 철학이라는 모 학문의 성격과 방법론을 공유하지만 각각의 영역에 고유한 쟁점과 내용들을 가지고 사회 복지의 다양한 측면을 규명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사회복지 철학의 하위분야는 철학의 새로운 분야들이 앞으로 등장할 사회복지의 새로운 관심과 결합하여 채워 나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다문화주의와 사회복지가 만나는 다문화 주의 사회 복지 철학 등이 등장할 수있을 것이다.
※ 사회복지학에 대한 철학 기여
사회복지와 철학이 만나야 하는 이유는 무엇을까? 달리 말해 사회복지가 스스로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개별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의존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과학 학문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철학이라는 학문을 접해야 하는 이유는 사회복지학과 같인 개별 학문이 가지고 있는 소명,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의 사회적 함의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 정당성을 확보하는 작업은 사회복지학과 같은 개별 학문이 스스로 개발한 이론이나 관련된 사회과학에서 도입한 이론으로 일정 정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계들은 개별 학문에 비하여 보다 근본적 한문( radical science)인 철학의 도움을 받아야만 해결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철학의 분과학문들인 존재론, 인식론, 윤리학, 미학, 정치철학 등에서 개발된 개념과 이론들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3. 사회복지학에 대한 철학의 기여
1) 과학적인 것과 비과학적인 것의 구분
편견이나 미신 혹은 검증 되지 않은 전제들을 제거함으로써 과학적 학문으로서의 위치를 유지
2) 사회과학의 지도 역할 : 위치/정체성 확정
현대사회에서 쏟아지고 있는 다양한 지식의 홍수 속에서도 사회과학의 현재 위치나 정체성을 명확하게 확정하는 역할 즉,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반성적 질문에 대한 대답을 제시
3) 연구 방법의 정교화
연구방법론에 대한 체격적 지식 제공 ex) 논리학
ㅁ 참고문헌
김기덕 외 2명(2017),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양성원
-- 다음 파트--
'경제와 복지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제2장 사회학자 마르크스 (0) | 2021.12.28 |
---|---|
자본주의 . 사회주의. 민주주의 조지프 슘페터 (0) | 2021.12.27 |
경제학 이란 경제학 역사 (0) | 2021.12.25 |
케이즈 경제학 케이즈이론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