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부 자문역인 존 메너이드 케이즈 의 이론 및 그 이론을 이어받은 케이즈 학파의 경제이론을 말한다. 케이즈 학파는 고전학파 이론의 맹점을 비판하면서 대공황의 타캐를 위해 정부가 민간 경제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간섭하고 정부 지출을 늘려 유효수요를 창출함으로써 대량 실업을 업애고 완전 고용을 달성할 것을 제창 항였다. 자본주의 경제의 병폐인 불안전고용, 즉 불황을 주로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데서,'불항 경제학' 이라고 평하는 학자도있다. 거시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경제학자로 아담스미스 이후 최고의 경제학자로 꼽히고 있는 자본주의가 살아있는한 케이즈론을 영원할것이라고 보고 있다.
케이즈 이론은 특히 미국에서 커다란 학문적 발전을 이룬다. 그의 가르침을 핵심 주제로 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인'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이 신설된지 10년도 되지 않은 1960년대 초에 벌써 모든 대학에서 경제학 중심 과목으로 자리 잡은데서 그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때까지 핵심을 이루고 있던 '가격이론(pricetheory)'이 '미싱경제학(microeconomics)'이라는 새 이름을 달고 크게 발전하게 된 것도 거시경제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거대한 학문적 물결을 이루며 도전해왔기 때문이다.
거시경제학의 시조로 케인즈가 되었다는 말은 단순히 그가 경제학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때까지 경제의 한두 부문만 골라서 집중적으로 조명하던 소위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의 접근법을 뛰어넘어 경제전 부문을 망라하는 분석의 틀을 제시했다는 의미이다. 사람들은 케이즈를 애덤 스미스(Adam Smith), 토마스 맬서스(Thomas Malthus), 데이비드 리카아도(David Ricrdo) 그리고 칼 마르크스(karl Marx)등의 대 경제 사상가들과 견주기도 한다.
신고전주의 통합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두가지 사고가 있었습니다. 수학적,한계주의적 미시 경제학 및 케이즈 거시 경제학은 서구 세계 경제 분야에서 거의 완전한 지배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신고전주의 통합으로 알려졌고, 이후 대학에서 가르치고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들에 의해 실행된 경제 사상의 주류를 대표 했으며 다른 관점은 이종 경제학으로 분류 되었습니다. 신고전주의적 통합 내에서, 때로는 서로 반대되는 다양한 경제 사고 흐름이 반전했습니다. 주로 자유 시장을 대부분 효율적이고 유익한 것으로 묘사하는 신고전주의 미시경제학과 시장을 본질적으로 사회를 위협하는 재앙적인 실패의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는 케이즈 거시 경제학 사이의 내재적 긴장으로 인해 이로 인해 다양한 학계 및 공공 정책 불일치가 지속되었습니다.
다양한 경제학자의 사상학파는 신고전주의 미시 경제학과 케이즈 거시 경제학을 모두 개선, 재해석, 수정 및 재정의 하기위해 노력해왔습니다. 가장 두드러진것은 통화주의 또는 화폐주의(Monetarism)와 밀터 프리드먼(Miton Friedman)이 개발한 시카고학파(Chicago School)로 신고전주의 미시 경제학과 케인즈 거시 경제 체계를 유지하지만 거시 경제학의 강조를 재정 정책(케이즈 선호)에서 통화 정책으로 전화합니다. 이접근 방식은 1980년대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특히 인기를 끌었습니다.
경제성장이론
인구증가, 자본축전, 기술진보의 장기적 요인들을 도입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경제의 전면적인 운동을 분석 대상으로 하는 이론분야이다. 그것은 보통 자본주의적 사회 경제 구조가 잘 확립되어 있는 선진제국의 경우를 전제로 전개된 것이라는 점에서 단순한 경제 성장 뿐만 아니라 사회, 정치 및 문화 등 전체적인 구조의 광범위한 개혁을 수반하는 저개발국의 경제 발전이론과 구별되기도 한다.
장기이론은 케이즈 의 일반이론 에서 전개된 단기에서의 유효수요 원리에 의한 소득결정이론을 장기에 까지 확장시켜 보려는 시도로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것의 선구적인 시작이 바로 해로드(Harrod, R.F.)의 Towards a Dyamic Ecnomics(1949)이다. 그러나 성장이론이 학설사상, 이때 처음으로 출현한 것은 아니다. 국민경제가 전체로서 생성, 발전해가는 과정의 범칙성을 구명하는 것은 스미스,리카도 등 의 고전학파,마르크스학파, 독일 역사학파에서 주요과제였다, 1870년대 부터 신고전 파가 근대 경제학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면서 부터 이론경제학의 연구대상이 주로 정태적 조건에서의 상품의 상대가격결정이론의 치밀화로 이행되었다. 따라서1940년대 이후 성장이론이 다시 활발하게 부활된 것은 [ 일반이론] 을 계기로 경제학의 연구대상이 종래의 가격중심의 경제이론으로 부터 소득 중심의 그것으로 이행하게 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제 2차대전 이후 커다란 경기변동을 겪지 않고 상당히 순조로운 성장을 계속해 온 선진제국의 역사적 배경과도 관련되어 있다.
'경제와 복지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사회주의,민주주의 제2장 사회학자 마르크스 (0) | 2021.12.28 |
---|---|
자본주의 . 사회주의. 민주주의 조지프 슘페터 (0) | 2021.12.27 |
경제학 이란 경제학 역사 (0) | 2021.12.25 |
사회 복지 윤리와 철학) 사회 복지 철학의 체계 파트 01 (0) | 2021.12.23 |